양육하는 교회들은 이런 사역을 유지하기 위한 조직을 구축한다

아티클 / TOW 프로젝트가 제공하는 주제별 콘텐츠

   사람들을 양육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조직은 사역을 용이하게 할 수도, 걸림돌이 될 수도 있다. 1세대에서 도움이 되었던 것이 다음 세대에서는 걸림돌이 될 수도 있다. 이는 얼개를 짜고 이를 지원하는 데 에너지가 사용되었지만, 애초에 의도한 기능을 위해 사용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형식은 반드시 기능을 따라야 하며, 다른 길을 따라서는 안 된다. 어떠한 조직을 만들고자 하는 목표가 있다면 그것이 제대로 추진되고 있는지, 혹은 그 비전을 잃거나 왜곡시키지는 않았는지, 꾸준히 살펴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

 

   이와 동시에 사역이나 사명을 성공적으로 이행하고자 한다면, 지속가능성을 유지하고 촉진하기 위한 조직이 필요하다. 교회가 직장 사역에 개입한 경우를 가장 정교하게 보여주는 사례는 캐서린 리어리 알스도프(Katherine Leary Alsdorf)와 그녀의 팀원들이 뉴욕 리디머장로교회에서 개발한 조직(현재는 데이빗 킴이 주도함)일 것이다. 이들의 신앙과 일 센터에서는 팀원들이 각자 예술 사역, 기업가 정신 기획, 고섬 펠로우십 인턴 프로그램 등, 다른 사역분야를 각자 맡는다. 팀원들은 또한 18개의 다른 직업군의 지도자 그룹을 편성하고 그 밑에 여러 소집단들을 배치시킨다. 또한 다른 많은 교회들이 실업자나 구직자에게 도움을 주고 이들을 지원해주는 전문가들을 지정해두고 있다.

 

대형교회 접근법

새들백 커뮤니티 교회(Saddleback Community Church)는 매주 소그룹을 위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일과 신앙 문제에 대한 성경적인 관점에 대해 토의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만나는 약 4,000명의 그리스도인들을 섬기고 있다. 이는 가정 모임을 정기적으로 하는 수백 명의 새들백 성도들을 포함한 것이다. 교회의 어떤 성도는 이런 그룹을 위한 토의자료를 준비하는 시간제근무 계약을 맺었다. 또한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매주 <일터를 위한 지혜(Workplace Wisdom)>를 이메일로 멤버들에게 보냄으로써 이들을 격려하고 반성을 촉진하고 있다.[1]

 

   이러한 여정을 갓 시작하는 교회들이 맞닥뜨리는 문제는 우선 어떤 구조적 요소들이 중요한지를 정하는 것이다. 이매진 교회 프로젝트는 핵심 그룹을 세우는 일부터 시작하라고 제안한다. 이를 통해 지속성을 얻을 수 있으며 충분한 자금과 기타 자원들을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너무 관료적으로 되어버리면, 교회 직장 프로그램의 활력과 비전이 조금씩 약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문제는 제도화된 센터를 설립하면서 동시에 청년세대가 자신들만의 사역을 세울 수 있도록 유연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https://web.archive.org/web/20150721113429/http://saddleback.com/connect/ministry/Saddleback-at-Work/lake-forest를 보라.